집에서 할 수 있는 위 내시경!? 이것만 알면 됩니다!

위내시경을 해 보신 분들이라면, 그 검사가 얼마나 불편한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적용하지만, 집에서도 얼마든지 위 내시경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위 건강 자가 진단법

출처 : MBClife(이하동일)

한의학에서는 복부를 손으로 만지거나 눌러서 장기의 통증 반응을 확인해서 장기에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을 복진법이라고 한는데요.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이것만 잘 알아두셔도 셀프로 위 내시경을 하는것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배꼽을 기준으로 상화좌우로 9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번은 간, 쓸개, 십이지장
✅ 2번은 위
✅ 3번은 췌장
✅ 4번은 소장
✅ 5번은 대장, 소장
✅ 6번은 대장
✅ 7번은 여성 질환
✅ 8번은 방광과 소장
✅ 9번은 여성 질환

이 위치를 먼저 기억하세요. 부위 별로 눌러보시고, 체내 염증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면 해당위치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위염이나 기능성 소화장애가 있으신 분들은 살짝만 닿아도 통증이 있습니다.

작은 힘에도 통증이 있다면, 해당부위에 염증이나 암세포가 자라고 있는 신호로 봐도 무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에서 수시로 이곳을 눌러서 확인하시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