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딜가나 사랑받는 사람들!
어느 사회에 꼭 이런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군대나, 아르바이트 자리나, 사회나, 학교나 말이죠.
그런데, 이 사람들은 이것을 알고 하는 걸까요? 아니면 모르고 하는걸까요?
도대체 어떤 말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길래, 사람들의 인기를 독차지 하는걸까요?
오늘은 어딜가나 사람받는 사람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뭘 고를건가요?
예시를 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썸녀가 내 앞에서 다른 남자의 칭찬을 한다면 뭐라고 말씀하시겠습니까?

① 에이~ 그게 뭐가 멋있냐
② 그래? 난 잘 모르겠던데
③ 맞아, 사람 진짜 괜찮아 보이더라
혹시 썸녀의 질문에 욱한 마음이 들어서 1번처럼 대답하실 건가요?
아니면 2번처럼 말을 할건가요?
썸녀의 마음을 붙잡고 싶다면, 바로 3번처럼 말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속이 뒤집어 질 노릇입니다.
썸녀가 다른 남자를 띄워주는데 바보같이 맞장구나 치라고요?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분명 계실겁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진정하고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미루기만 한 당신! 절대 게을러서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면!?
👉️업계 최강자 시미켄이 알려주는 남자 아랫도리 강화 훈련!!(+ 10배 강해집니다)
👉️혀의 위치만 바뀌어도 얼굴이 잘생겨지고, 예뻐집니다!
심리학 이론 XXX를 알고 있나?
심리학 이론중에 자발적 특성 전이라는 이론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말이 좀 어렵습니다.
이 말은 누군가 다른 사람에 관해 이야기할 때, 듣는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묘사하는 제3자의 성격을 말하는 사람과 연관지어 생각한다는 거라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서, 누군가가 다른 사람의 장점을 이야기하면, 사람들은 말하는 사람 역시 그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여긴다는 점이에요.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내가 다른 사람의 단점을 이야기하면 그 말을 듣는 사람들은 다름 아닌 내가 그 단점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죠.
이런 재밌는 심리 현상은 오하이오 주립대의 존 스코론스키 교수가 직접 실험을 통해 밝혔습니다.
교수는 60명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비디오를 한 편 보여주었습니다.
영상은 배우 한 명이 등장해
다른 사람들의 사진을 보면서
그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내용이었다고 해요.
이때 존 교수는 한 그룹에는 배우가
다른 사람의 장점만을 말하는 영상을,
다른 한 그룹엔 단점만을 말하는 영상을 보여줍니다.
그리곤 영상을 다 본 참가자들에게
배우가 어떤 사람인 것 같은지를 물어봤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참가자들은 배우가 다른 사람을 묘사한 성격
그대로 배우의 성격을 예상했다는 건데요.
예를 들어 배우가 사진 속 인물에 대해
“이 사람은 동물을 아주 싫어해서
하루는 강아지에게 발길질까지 했다니깐”
이라고 설명하는 걸 듣고는
참가자들은 이 배우 역시
‘잔인하고 매정해 보인다’고
대답했다는 거예요.
반대로 배우가 다른 사람을
친절하다고 묘사했을 땐
참가자들은 배우도 친절해 보인다고 답했죠.
이어 교수는 참가자들에게
배우에게 느낀 호감도를
7점 만점으로 평가하도록 했는데요.
참가자들은 배우가
다른 사람을 칭찬할 때는 5.55점을 줬지만,
험담했을 때는 2.23점 밖에는 주지 않았어요.
똑같은 사람이라도
단지 다른 사람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 하느냐에 따라
호감도가 2배 이상 차이가 나게 된 것이죠.
왜 3번처럼 대답을 해야하는것인지 이해가 되시나요?
설령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 아닌 다른 이성을 칭찬한다고 해도, 여유롭게 맞장구쳐주세요.
그 사람의 좋은 점을 같이 언급하면서 나도 그런 장점을 가졌다는 사실을 살짝 어필하고 묻어가는 것이죠.
연애든 인간관계든, 남의 장점을 들었을 때, 공감해주는 사람들은 어디에서든지 인기가 많습니다. 질투는 인간의 기본적인 심리기제 이지만, 이것을 얼마나 잘 컨트롤 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인격이 판가름 되는 것이죠.